한국폐자원에너지기술협의회가 오는 10월 28일 서울 코엑스마곡 컨벤션센터에서 '기후경제와 탈탄소 산업화 전략'을 주제로 '2025년 추계 기술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탄소중립 실현과 기후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혁신 방안을 논의하고 산업계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개회식에는 한국폐자원에너지기술협의회 박진원 회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기후에너지환경부 폐자원에너지과 이제훈 과장 등이 참석해 기후경제와 탈탄소 기술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할 예정이다.
포스터 모습
세미나는 총 3개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되며, 탄소중립과 기후테크, 순환경제와 폐자원에너지를 중심으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진다. 1세션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송호준 센터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된다. 이 세션에서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이봉재 센터장이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인증 및 표준 제정 현황을 공유하고, 빅텍스 임창환 상무는 탄소 포집 기술개발 현황과 온실가스 감축 사례를 발표한다. 이어 한국환경공단 권혁 부장이 바이오가스 기반의 친환경 에너지 사업 추진 방안을, 한양대학교 송호철 교수가 폐자원 활용 탄소 자원 생산 기술 및 산업 동향을 발표하며 기후테크와 순환경제의 연결고리를 탐색한다.
2세션과 3세션은 순환경제와 폐자원에너지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2세션에서는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홍성균 처장이 좌장을 맡아 기후에너지환경부 주우민 사무관이 순환경제 정책 방향을 설명하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은도 수석연구원이 폐자원의 열화학적 전환을 통한 청정 수소 및 그린 탄소 생산 기술 등 저탄소 기술 개발 사례를 논의한다. 엣지에너지 장청희 회장은 폐플라스틱 활용 합성가스 및 수소 생산 기술을, 경상국립대학교 서동철 교수는 폐자원 유래 바이오차의 농산업적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
3세션은 국립환경과학원 윤영삼 연구관이 좌장을 맡아 국립환경과학원 이동진 연구관이 바이오가스 이용별 경제성 및 온실가스 감축 효과 분석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강성원 연구위원이 바이오가스화 공정 부산물인 고농도 암모니아를 이용한 수소 생산기술 개발을 발표한다. 이 외에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문지홍 책임연구원과 고등기술연구원 장은석 수석연구원이 가축 분뇨 에너지화 기술 개발 현황과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수소생산기지 구축 및 운영 현황을 다루며 실질적인 탈탄소 산업화 방안을 모색한다. 한국폐자원에너지기술협의회 박진원 회장은 "기후변화 대응은 이제 경제와 산업의 핵심 과제이며, 이번 세미나가 기후경제 시대를 선도할 실질적 해법을 제시하고 산업 전반의 혁신을 촉진하는 뜻깊은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친환경투데이 정하준 기자 press@greenverse.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