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저영향개발협회가 에코그린연합, 국토일보와 손잡고 ‘기후테크 전문가’ 양성에 나섰다. 세 기관은 최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공동 사업 추진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체계를 구축하기로 합의했다.
업무협약 모습
이번 협약식에는 최경영 한국저영향개발협회장을 비롯해 신국호 에코그린연합 회장, 김광년 국토일보 발행인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해 지속가능한 기후 대응 체계를 위한 적극적인 협력을 다짐했다.
세 기관은 앞으로 △기후테크 전문가 양성과정 운영 및 콘텐츠 개발 △기후 관련 제도 수립 및 인증 지원 △탄소감축 기술 및 솔루션 보급 확대 △미디어 협력을 통한 홍보 및 인식 확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힘을 모으기로 했다. 특히 협력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한 달 이내에 참여 기관들이 공동 참여하는 목적법인(SPC)을 설립할 계획이다.
협력의 첫 단계로 ‘기후테크 전문가 1기 양성과정’이 진행됐다. 한국저영향개발협회와 에코그린연합이 공동 주관한 이번 교육에는 사회 각계 리더와 전문가 약 50명이 참석해 기후위기 대응 전략과 탄소중립 실천방안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펼쳤다.
기후테크 전문가 양성과정은 혁신적 친환경 기술과 제품 이해를 바탕으로 실천 가능한 탄소 감축 및 자원순환 전략을 배우는 전문 프로그램이다. 주요 과정은 △기후위기 대응 전략 △탄소중립 녹색성장법과 관련 제도 △지속가능한 물·에너지·자원·생태 순환 기술 △폐플라스틱 재활용 솔루션 등으로 구성돼 있다.
교육을 수료한 전문가들에게는 지자체 및 기업 대상 솔루션 홍보 및 제안 권한, 탄소배출권 기반의 탄소크레딧 제공, 협회 및 연합 회원 자격, 전문가 신분증과 수료증 발급, 에코그린연합 핵심 인력 활동 기회 등 다양한 혜택이 제공된다.
최경영 회장은 “이번 협약은 민간의 전문성이 실제 기후정책 실행과 연계되는 중요한 시도”라며 “앞으로 기후 행동가 양성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실천적 토대를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친환경투데이 정하준 기자 press@greenverse.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