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는 2025년 신규 친환경 벼 재배면적을 1천890ha까지 확대해 공급과잉 해소와 함께 2020년 이후 감소한 벼 인증면적을 반등시키겠다는 계획에 발맞춰, 대대적인 농업인 교육을 실시한다.
교육 모습
전남도는 올해 친환경 벼 재배에 따른 판로 및 소득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인증 단계별 직불금 단가를 인상하고, 신규 생산 전량을 정부에서 매입하는 정책을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현행 특등가 40kg 기준 65,600원에서 68,780원으로 수매가가 5% 인상되며, 친환경 벼 재배 농가는 안정적인 소득원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현재 공공비축미 수매량은 1만 톤에서 2029년까지 15만 톤까지 확대될 예정이다.
이번 교육은 농림축산식품부와 (사)한국친환경농업협회, 전남도가 공동으로 진행하며, 지난 11일 영암을 시작으로 12일 함평에서 개최되었고, 오는 31일까지 21개 시군에서 신규 친환경 벼 재배 농가 및 희망 농업인 약 1천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교육 내용은 친환경농산물 생산계획서 및 영농일지 작성 요령, 인증 기준과 종자소독 방법, 시기별 병해충 방제 등 친환경 벼 재배 기술, 그리고 왕우렁이 활용 및 관리 요령 등 실무 중심으로 구성된다. 특히, 올해 신규 친환경 벼 재배농가는 경영자료 1년치 없이도 인증 신청이 가능하며, 10월 31일까지 인증서를 제출하면 친환경 직불금도 받을 수 있어 농가 부담을 대폭 경감할 수 있다.
김영석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이번 교육과 정책 지원을 통해 친환경 벼 재배농가가 판로와 소득 안정을 이루며 지속 가능한 농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많은 참여를 당부한다”고 전했다.
친환경투데이 원정민 기자 press@greenverse.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