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기술개발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비롯한 14개 중앙부처와 12개 지자체는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기본계획(2023~2032)’에 따라 2025년도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총 2조 7,496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는 전년 대비 3.9% 늘어난 규모다.
정부는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혁신 생태계 조성 등 세 가지 전략을 중심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먼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차세대 태양전지, 부유식 해상풍력, 혁신형 소형 원자로 등 무탄소 에너지 기술 개발을 강화한다.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기술의 고도화와 실증도 확대해 탄소중립 목표를 지원한다. 또한, 폐자원 재활용과 바이오매스 기반 연료 개발 등 탄소 배출을 줄이는 기술도 함께 추진한다.
제1차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기본계획 모습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기술개발도 이어진다. 생태계와 산림의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하고, 농업 생산 기반의 안전성을 강화해 안정적인 식량 생산을 지원할 예정이다. 기후변화 감시·예측 체계도 고도화된다. 온실가스 공간정보지도 구축과 국가 기후예측 체계 개발을 통해 기후재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물순환과 산림, 연안 보호 기술 개발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기후기술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반 마련에도 힘을 싣는다. 배터리 안정성 평가와 원자력 기술 연구시설 구축을 통해 기후기술 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기후기술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맞춤형 교육도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국내외 연구기관과 협력을 통해 국제 연구개발 역량을 높이고, 지역별 탄소중립체험관을 운영해 국민적 공감대 형성에도 나설 예정이다.
정부는 중앙부처와 지자체, 민간이 협력하는 범정부 협의체를 통해 정책의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성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 혁신을 기반으로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탄소중립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노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친환경투데이 정하준 기자 press@greenverse.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