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데, 통계청 추계에 따르면 2017년 말 또는 2018년 초에 고령화 비중이 14%를 넘어서는 고령사회로 접어들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에 따라 산업 각 분야에서 고령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고령자 층의 수요에 대응한 제품, 서비스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고령자는 고령화에 따라 씹는 기능, 소화기능 등이 저하되어 식생활에 어려움을 겪거나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가 많아 건강증진, 노후생활의 질 개선 등을 위해서는 식품산업에서도 고령자 대상 제품에 대한 많은 관심이 요망된다.
「고령친화산업 진흥법」시행령 제2조에 따르면, 고령친화식품을 '고령친화제품등'의 하나로 '노인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및 급식 서비스'로 정의하고 있다.
이에, 고령친화식품 주요 연관 품목의 출하액에 주민등록인구상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을 적용하여 시장 규모를 추정하였다.
고령친화식품 주요 품목군(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고령친화식품의 국내 시장 규모는 2015년 출하액 기준 7,903억원으로 2011년 5,104억원에서 54.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전체 식품시장 52조 63억원(2015년 출하액 기준)에서 고령친화식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1.5% 수준이다.
고령친화식품 시장규모(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단위 : 백만원
고령친화식품에 대한 소비자 조사결과, 고령친화식품의 가장 중요한 사항은 '영양공급'이라는 응답이 48.8%로 가장 많았고, 소화 용이(26.5%), 저작·연하 용이(20.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고령친화식품에 중요한 사항
고령친화식품으로 생각되는 제품으로 '건강기능식품'이라는 응답이 10.1%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특수용도식품(9.1%), 인삼·홍삼제품(8.8%), 청국장(8.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고령친화식품으로 생각되는 제품(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단위 : %
노년층에 진입하는 연령대인 60세 이상 응답자를 세분하여 조사한 결과, 60세 이후 소비가 늘어난 품목은 건강기능식품(12.9%), 인삼·홍삼제품(12.2%), 두부(10.8%), 청국장(9.9%)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습관 변화로는 '일반 식사에는 큰 변화가 없지만, 과일·견과류와 같은 건강한 간식을 챙겨먹는 비중이 늘었다'는 응답이 31.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뒤로 '영양보다는 소화가 잘 되는 쪽의 식품 소비가 늘었다'는 응답(22.2%) 순으로 나타났다.
60세 이후 소비가 늘어난 식품(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단위 : %
60세 이후 식습관의 변화(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단위 : %
일본은 고령친화식품과 비슷한 개념으로 '개호식품(Care Food)'이 발달했으며, 2016년부터 저작·소화작용에 어려움이 있는 고령자 중심의 개호식품 개념을 넘어, 저영양 예방까지 대상을 넓혀 '스마일케어식'을 제도화하였다.
일본 야노경제연구소는 일본의 개호가공식품 시장규모가 2013년 1,258억엔(1조 3,453억원)에서 2017년 1,480억엔(1조 5,827억원)으로 17.6%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개호식품의 종류 및 품목이 증가하고, 급식서비스나 택배서비스 등의 새로운 사업이 활발해짐에 따라 2020년까지 연평균 3%의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고령친화식품의 시장규모를 확대하고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관련 협의체 구축, 표준 마련, R&D 투자 확대 등 다각적인 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다.
먼저, 한국식품연구원 등과 협업으로 고령친화식품에 대한 한국산업표준(KS)을 연내 마련하여 업계에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할 예정이다.
농림축산식품부 박병홍 식품산업정책관은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어르신들의 식생활의 질 개선과 건강 증진 및 향후 시장 확대 등을 고려하면 고령친화식품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라고 하면서, "정부는 고령친화식품시장을 중점 육성할 분야라고 생각하고, R&D 투자 등을 통해 국내시장의 확대를 도모하고, 일본·홍콩 등 고령화가 진행 중인 국가를 대상으로 수출시장을 넓혀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