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OFF
뉴스홈 > 친환경뉴스 > 핫이슈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친환경농산물 인프라·유기농 생태마을 확대… 생산‧가공‧관광 아우르는 지역경제 모델 구축
등록날짜 [ 2025년06월30일 14시28분 ]
전라남도가 국내 최대 친환경농업 기반을 토대로 농촌융복합산업화에 속도를 낸다. 도는 올해 105억 원(보조 83억·자담 22억)을 들여 친환경농산물 생산·유통 인프라 구축, 유기농 생태마을 육성 등 네 가지 사업을 집중 추진한다고 밝혔다. 목표는 농업 전‧후방 산업과 농촌 관광을 결합한 ‘유기농 6차 산업’ 모델을 정착시켜 지역경제를 살리고 친환경농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은 친환경농산물 생산·유통 인프라 구축이다. 순천농협과 보성 장양영농조합법인은 각각 5억 원을 지원받아 저온저장·선별·가공 시설을 확충하고 공동 브랜드를 개발한다. 도는 이를 통해 친환경 원물 판매에 머물렀던 유통 구조를 가공·체험·온라인 직거래로 다변화해 부가가치를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

유기농 생태마을 사업도 확대된다. 이 사업은 2010년 전남이 전국 최초로 도입해 현재 71개 마을이 지정돼 있다. 올해는 장흥 지북·담양 유촌 등 7개 마을에 12억 원을 투입해 가공장과 체험장비, 교육 프로그램을 갖춘다. 주민이 직접 운영하는 체험 콘텐츠를 통해 관광객이 유기농업 현장을 보고, 먹고, 즐기며 농가 소득을 올리는 구조다.

대표 사례로 꼽히는 나주 계량마을은 지난해 김치 가공공장과 체험장을 갖춘 뒤 연간 2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마을 주민들은 무농약 배추와 양념 재료를 직접 재배해 가공까지 책임지며, 방문객에게 수확 체험과 김치 담그기 프로그램을 제공해 고정 고객층을 확보했다. 도는 이런 성공 사례를 전파해 마을 간 노하우 공유와 공동 판로 확장에 나설 방침이다.
나주 계량마을 김장체험 모습
이번 사업은 ‘농지 1필지, 가치 3배’라는 전남도의 농정 목표와 맞닿아 있다. 생산 단계에서 친환경 인증을 받으면 가공·체험이 연계되고, 스토리텔링으로 브랜드 가치가 높아지는 구조다. 특히 온실가스 감축과 탄소중립이 화두로 떠오른 농업 분야에서 친환경 인증 면적 3만4천ha(전국의 절반)를 보유한 전남의 강점이 더욱 부각될 전망이다.

전남도는 또한 농촌융복합산업화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생산·가공·관광 매출, 일자리 창출, 방문객 수 등을 데이터화한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별 맞춤 지원책을 조정하고, 연말에는 우수 사례를 선정해 사업비를 추가 배정할 계획이다.

박현식 전남도 농축산식품국장은 “친환경농업이 단순 생산을 넘어 가공·체험·관광으로 이어져야 농가 소득이 안정된다”며 “전국 최대 규모의 친환경 인증 면적이라는 기반 위에 유기농업 특화 융복합산업을 육성해 미래 농업의 길을 열겠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올 하반기 정부 공모 사업에도 적극 참여해 국비를 확보하고, 민간 투자 유치를 통해 사업 범위를 넓힐 방침이다. 6차 산업화를 위한 금융·컨설팅 지원 창구도 신설해 영세 농가가 사업에 진입할 수 있도록 진입 장벽을 낮출 계획이다.



친환경투데이 정하준 기자 press@greenverse.net
원정민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