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금천구 탄소중립 전략의 허브인 금천에코에너지센터가 4월 24일 관내 복지기관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열고 ‘복지 현장의 탄소중립 실천 확산’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행사는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지역 차원의 복지·환경 통합 정책 기반을 마련하고, 일상생활과 밀접한 복지시설을 탄소중립 거점으로 전환하는 청사진을 그리는 자리였다. 참가자들은 고령자·아동·장애인 등 복지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해 맞춤형 기후행동을 설계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간담회 모습
센터는 금천구 탄소중립 이행 전략을 공유하며, 생활밀착형 환경교육, 에너지 절약 실천 모델, 자원순환 캠페인, 탄소중립 리더 양성 등을 골자로 한 협력안을 제시했다. 복지기관 관계자들은 복지시설이 지역주민이 가장 자주 이용하고 신뢰하는 플랫폼인 만큼 교육을 넘어 행동 변화를 끌어낼 실행 체계를 함께 구축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일부 기관은 자체적으로 추진 중인 재사용 캠페인과 자원순환 프로그램을 소개하며 현장 경험을 공유했다.
간담회에서는 복지와 환경을 분리된 영역이 아닌 상호 보완적 과제로 다뤄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참석자들은 복지정책이 기후위기 대응을 포함하도록 정책적 연계를 강화해야 지역 사회의 지속 가능성이 뿌리내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복지대상자의 건강과 일상 안전이 기후위기로 직접 위협받는 현실에 주목하며, 복지기관이 에너지 취약계층 보호와 탄소 저감 활동을 동시에 수행할 필요성을 확인했다.
금천에코에너지센터는 이번 만남을 출발점으로 복지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복지대상자 맞춤형 교육 콘텐츠 개발, 기관별 탄소중립 로드맵 수립, 공동 실천 캠페인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센터는 탄소중립이 선택이 아닌 생존 전략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며, 복지 현장을 기반으로 한 기후행동이 지역 단위에서 실질적 변화를 끌어내도록 지원 체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친환경투데이 정하준 기자 press@greenverse.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