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벼 재배면적 조정제 시행으로 쌀값 안정화 노력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일반 벼를 친환경 벼로 전환하는 농가 지원이 정부와 충북도 차원에서 강화된다.
충청북도의 한 친환경 농촌마을 모습
2025년 주요 시책으로는 친환경농업직접지불제 단가 인상과 당해 연도 신규 친환경 인증 필지에 대한 예외 규정 신설, 친환경 벼 전환 시 공공비축미로 전량 매입, 벼 재배면적 조정제 감축 이행 인정 혜택 등이 포함된다.
무농약 및 유기 벼 재배 농가는 전년 대비 ha당 각각 25만 원이 인상된 75만 원, 95만 원의 직불금을 지급받게 되며, 신규 친환경 벼도 당해 7~8월 인증을 받아 직불금을 수령할 수 있게 된다.
기본형 공익직불금과 중복 수령이 가능한 친환경농업직불금은 농가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고, 공공비축미를 통한 전량 매입으로 안정적인 판로 확보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충북도는 도비 친환경농업직접지불제 지침을 개정해 2025년 친환경 벼 전환 농가에 ha당 81만 원의 환경보전비를 추가 지급할 계획이다.
시군의 자체 사업 등과 연계해 친환경단지 내 관행 필지 또는 신규 재배단지 조성을 통해 친환경 벼 재배면적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농가 부담 완화와 친환경 농업 활성화를 위해 정부와 도가 지속적으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전망이다.
친환경투데이 정하준 기자 press@greenverse.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