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모바일모드
|
로그인
|
회원가입
주요뉴스
혁신적인 '빛과 균'의 협업! 유...
경기도, '기후경제 중심지' 도...
고양시-초록우산, 람사르 습지...
‘한국형 AI’로 아프리카 기...
경기도주식회사, 10월 축제에 ...
CU, 도시락 용기 전면 교체… ...
유기농업, 자연 포식자로 관행...
홈앤그리너 대학생 서포터즈, ...
유기농 쌀 받고 한살림 조합원...
광명시민 40명, '줍킹데이'로 ...
핫이슈
세계
속보
환경·과학
정보
칼럼
과일·채소
곡식
가공식품
수산·축산
생활·뷰티
식용곤충
협회·단체
협동조합
프랜차이즈
백화점·할인점
온라인·모바일
문화
행사
소식
지식
지역뉴스
서울
경기
경북
경남
전북
전남
충북
충남
강원
제주
위대한농부
친환경뉴스
지역별뉴스
세계친환경소식
친환경생산자
친환경판매자
뉴스홈
>
친환경뉴스
>
정보
등록날짜 [ 2021년10월21일 09시16분 ]
유기농업이 관행농업에 비해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켜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농업을 가능하게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네브래스카에서 진행된 이번 연구에서는 토양의 응집체 안정성, 토양의 압축에 대한 민감도, 물의 침투 능력, 포화 수위 전도성, 토양 수분 함량 등을 포함한 토양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유기농 관리의 장기적인 영향을 조사하였다.
유기농 벼 재배 농장의 토양
그 결과 유기농으로 재배하는 토양은 관행농업의 토양보다 수분 침투율을 10배 증가시켰고, 토양 응집체의 안정성은 30~50% 높게 나타났다.
또한 토양 압축 밀도가 유기농 토양에서 3% 낮게 나타나 토양의 압착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연구의 참여한 관계자는 "이번 연구를 통해 유기농업은 장기적으로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향상시키는 전략을 제공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 농공 학회(
American Society of Agronomy)에 발표되었다.
친환경투데이 원정민 기자 korea@gflab.net
원정민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