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주민들은 현재 자신의 삶에 대해 행복 점수로 60.7점을 주었고, 2명 중 1명은 나이 든 부모를 모시고 살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전국 농촌지역 4,010가구를 대상으로 가족, 교육, 지역개발 및 공동체 부문에 대해 조사한 ‘농어업인복지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조사시기와 대상 : 2015.9.1∼10.11. 전국 농촌지역 4,010가구(가구주 또는 가구주 배우자)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에 ±1.56p 이내
조사결과, 농촌주민들은 지역생활 전반에 대해 ‘보통(52.5점)’으로 답한 반면, 자신들의 현재 삶에 대해서는 ‘행복하다’고 답한 사람이 48.3%, ‘보통’은 42.5%, ‘행복하지 않다’는 9.2%인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감의 평균 점수는 60.7점이었다.
가족 부문에서는 부모의 노후생계 돌봄 주체에 대해 ‘모든 자녀’라고 답한 경우가 43.6%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스스로 해결(21.4%)’, ‘장남 또는 맏며느리(13.4%)’, ‘능력 있는 자녀(12.0%) 순이었다.
그러나 현재 부모의 생활비 마련 방법에 대해 ‘부모 스스로 해결(46.6%)’하고 있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모든 자녀(27.6%)’, ‘장남 또는 맏며느리(15.2%) 순이었다.
노부모 부양에 대한 태도에서는 ‘자식은 나이든 부모를 모시고 살아야 한다’가 55.2%, ‘나이 든 부모를 경제적으로 부양해야 한다’가 69.0%, ‘딸도 아들과 똑같이 나이 든 부모를 돌봐야 한다’가 60.9%였다.
부모 책임에 대해서는 ‘부모는 자녀의 대학교육비를 책임져야 한다’가 75.7%, ‘결혼준비 비용의 책임’에는 45.0%가 동의했으며, ‘필요하다면 자녀가 결혼한 후에도 돌봐줄 책임이 있다’는 30.9%였다.
교육 부문에서는 자녀 또는 손자녀에 대한 기대학력으로 ‘성별에 관계없이 대학(2년제 이상)’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학력 상관없이 능력대로 하겠다’라는 비중도 30% 이상이었다.
초·중·고등학생 자녀가 있는 가구(n=908)는 학교 교육 여건에 대해 전반적으로 ‘약간 만족하는 수준’이라고 답했으며, 구체적으로 교사에 대한 만족 59.9점, 학교와의 의사소통 59.4점, 진로교육 57.9점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있는 농촌 가구 2가구 중 1가구(47.2%)에서는 ‘사설학원 수강’이 방과 후 주로 하는 시간 활용법이었고, 다음으로는 ‘방과 후 교내 보충학습 참여(20.6%)’였다.
학생 자녀가 있는 가구 중 절반 이상(69.5%)에서 사교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평균 사교육비용은 25.1만원이었다.
교육비 중 가장 부담이 되는 항목은 ‘보충교육비(48.3%)’라고 했으며, 다음으로 ‘대학교 및 대학원 등록금(20.5%)’이었다.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은 48.2%이며, 이 중 50.6%가 주로 특기적성에 참여했으며, 참여하는 가장 큰 이유는 ‘프로그램 내용이 좋아서(23.0%)’, ‘사교육에 비하여 교육비가 저렴해서(19.2%)’, ‘학교의 교육활동이라 믿을 수 있어서(17.4%)’ 등의 순이었다.
지역개발 및 공동체 부문에서는 현재 거주하고 있는 마을의 발전 정도에 대해 ‘발전된 편(25.4%)’이라고 인식하는 경우보다는 ‘낙후된 편(30.0%)’이라고 인식하는 사람이 많았다.
농촌지역 우선 필요정책으로는 ‘농업인 기초소득 보장(41.4%)’, ‘농업의 미래보호(21.2%)’, ‘농촌주민 교육과 건강증진(11.4%)’, ‘공용버스 등 교통수단 확보(10.7%)’ 순이었다.
마을의 안전 정도는 자연재해(65.5%) 및 치안(64.1%)에 대해 ‘안전한 편’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반면, 교통안전 및 보행에 대해서는 46.2%만이 안전한 편이라고 답했다.
마을의 안전시설이나 설비에 대해서는 ‘우리 지역은 우범 지역에 방범카메라가 잘 설치돼 있다’라는 질문에 45.5%가 그렇지 않은 편이라는 답해 부정적인 의견이 가장 높았다. 또 ‘우리 지역은 어두운 장소가 없도록 잘 정비되어 있다’라는 질문에 그런 편 32.8%, 보통이다 36.5%, 그렇지 않은 편 30.7%로 조사됐다.
농촌주민들의 공동체의식은 3.6점으로 약간 높은 수준이었으며, 공동체의식을 만들어 내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마을단체(26.5%)’, ‘좋은 이웃(24.7%)’, ‘지역공동시설(21.5%)’의 순으로 답했다.
농촌진흥청 농촌환경자원과 최윤지 연구관은 “이번 조사는 농촌 지역의 가족과 교육, 지역개발 및 공동체 부문에 대한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연구나 정책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생산하기 위해 이뤄졌다”라며, “이를 바탕으로 농촌주민의 삶의 질과 생활안전성이 높아질 수 있는 다양한 노력들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친환경투데이 김태성 기자 teaseong@eftoday.co.kr
|